출처: 남설악장아찌연구회. 약초 & 채소 장아찌 만들기. 지식서관
'장아찌 재료의 특성과 영양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강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21 |
---|---|
배나무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19 |
샐러리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10 |
피망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10 |
연근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09 |
출처: 남설악장아찌연구회. 약초 & 채소 장아찌 만들기. 지식서관
생강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21 |
---|---|
배나무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19 |
샐러리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10 |
피망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10 |
연근의 특징과 영양성분 (0) | 2020.09.09 |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채소 중 하나인 무는 당뇨, 항암, 해독에 좋은 채소이다. 무 장아찌는 여러 가지로 만드는데 일반적인 장아찌 장물로 담그기도 하고 간장만으로 담그기도 한다. 무 장아찌는 소금 장아찌와 간장 장아찌가 있다. 담그기 편리한 장아찌는 간장 장아찌이다. 소금 장아찌는 나중에 찬물에 충분히 우려낸 다음 양념에 무쳐서 섭취하고 간장 장아찌는 충분히 우려낸 후 그대로 섭취한다.
맛있는 무 고르는 법 :
1. 무청이 달려 있는 것이 신선한 무이다.
2. 몸통 표면이 희고 깨끗하며, 단단한 것이 좋다.
3. 지나치게 쓰거나 쏘는 맛보다는 단맛이 있는 무가 좋다.
4. 물이 많고 껍질은 얇은 것이 좋은 무이다.
준비 재료 : 무, 월계수잎, 차지열매, 소금, 설탕, 식초
1. 무를 잘 씻어 손질하고 적당히 썰어둔다.
2. 손질한 무를 소금물에 반나절 절여둔다.
3. 물, 설탕, 식초를 1:1: 0.5 정도 비율로 섞는다. 식초의 비율은 입맛에 따라 맞추면 된다.
4. 치자열매는 으깬 다음 물에 담가두면 노란 물이 우러나온다.
5. 3, 4를 섞은 단촛물을 팔팔 끓인 후 식힌다.
6. 소금물에 절인 무를 먹기 좋게 썰고 용기에 담는다.
7. 끓여 식힌 단촛물을 무에 붓고 바로 먹어도 좋지만, 노랗게 물이 들으려면 일주일 정도 그대로 두어야 한다.
약리 효능과 효과
무는 폐열을 식히는 작용이 있어 가래와 기침을 가라앉히고 수분과 비타민 C가 풍부해 기침을 멎게 한다. 껍질에는 무속의 2배 정도 되는 비타민 C가 들어 있다. 무즙의 매운 맛은 살균, 항균, 항암 작용을 한다. 이외에도 비타민과 칼슘, 철, 인 등 미네랄이 풍부하다. 무에 함유되어 있는 오게시타제 성분은 발암물질을 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며 위장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무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소화효소가 다량 들어 있어 체했을 때 좋다. 무에는 아말라아제, 리그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침, 가래를 삭이고 감기를 예방하도록 한다. 무에는 디아스타아제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소화기능을 향상시켜주고 복통에 좋다. 무에는 섬유소가 풍부하여 피부노화와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무는 진통 및 해열 효과가 있어 치통에 효과적이다. 무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무에 들어 있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전구물질은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는 숙취해소, 혈액순환 촉진, 식중독 예방, 노화방지 등의 효능이 있다.
참고 : 자연음식전통연구원. 한국인의 맛 장아찌. 성하Books
피망 소금 장아찌 (여름) (0) | 2020.09.10 |
---|---|
참외 소금 장아찌 (8월) (0) | 2020.07.28 |
노각(늙은 오이) 장아찌 (0) | 2020.07.25 |
오이지 (7월) (0) | 2020.07.25 |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채소 중 하나인 무는 당뇨, 항암, 해독에 좋은 채소이다. 무 장아찌는 여러 가지로 만드는데 일반적인 장아찌 장물로 담그기도 하고 간장만으로 담그기도 한다. 무 장아찌는 소금 장아찌와 간장 장아찌가 있다. 담그기 편리한 장아찌는 간장 장아찌이다. 소금 장아찌는 나중에 찬물에 충분히 우려낸 다음 양념에 무쳐서 섭취하고 간장 장아찌는 충분히 우려낸 후 그대로 섭취한다.
맛있는 무 고르는 법 :
1. 무청이 달려 있는 것이 신선한 무이다.
2. 몸통 표면이 희고 깨끗하며, 단단한 것이 좋다.
3. 지나치게 쓰거나 쏘는 맛보다는 단맛이 있는 무가 좋다.
4. 물이 많고 껍질은 얇은 것이 좋은 무이다.
준비 재료 : 무 1개, 간장 1컵, 다진 마늘 2큰술, 다진 생강 1큰술, 설탕 3큰술, 실고추, 고춧가루, 통깨
1. 무는 깨끗이 손질하여 4cm 길이로 썰어놓는다.
2. 손질한 무를 그릇에 담고 간장과 설탕을 넣어 하루쯤 두면 무에서 물이 나와 국물이 많아진다.
3. 국물만 따라낸 후 펄펄 끓여 식히지 않고 뜨거운 것을 무를 담은 용기에 붓는다.
4. 2~3일 지난 후 다시 국물에 따라서 끓여 식힌 다음 붓는다.
5. 4의 방법을 2~3번 반복한다.
6. 보름 정도 지나면 먹기 좋게 되고, 먹을 때마다 건져서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 양념에 버무린다.
약리 효능과 효과
무는 폐열을 식히는 작용이 있어 가래와 기침을 가라앉히고 수분과 비타민 C가 풍부해 기침을 멎게 한다. 껍질에는 무속의 2배 정도 되는 비타민 C가 들어 있다. 무즙의 매운 맛은 살균, 항균, 항암 작용을 한다. 이외에도 비타민과 칼슘, 철, 인 등 미네랄이 풍부하다. 무에 함유되어 있는 오게시타제 성분은 발암물질을 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며 위장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무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소화효소가 다량 들어 있어 체했을 때 좋다. 무에는 아말라아제가 들어 있어 소화불량이나 복통에 좋다. 무는 피부노화와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무에 들어 있는 메틸메르캅탄, 겨자유가 매운 맛을 내며, 항균, 거담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감기를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무에는 니코틴을 해독하고 숙취를 일으키는 아세트알데이드를 몸 밖으로 배출시켜주는 아밀라아제가 많이 들어 있다. 무는 항균 효능이 있어 식중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참고 : 자연음식전통연구원. 한국인의 맛 장아찌. 성하Books
은행 간장 장아찌 (10월) (0) | 2020.09.17 |
---|---|
근대 간장 장아찌 (10월) (0) | 2020.09.16 |
피망 간장 장아찌 (여름) (0) | 2020.09.10 |
샐러리 장아찌 (여름) (0) | 2020.09.10 |
연근 장아찌 (5월) (0) | 2020.09.09 |
출처: 자연음식전통연구원. 한국인의 맛 장아찌. 성하Books
은행 껍질 쉽게 까는 법 (0) | 2020.09.17 |
---|---|
근대에 대해서 (0) | 2020.09.16 |
무를 이용한 민간요법 (0) | 2020.09.14 |
맛있는 무 선택법 (0) | 2020.09.13 |
무 다이어트 (0) | 2020.09.12 |
출처: 자연음식전통연구원. 한국인의 맛 장아찌. 성하Books
당뇨, 항암, 해독에 좋은 무 고추장 장아찌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채소 중 하나인 무는 당뇨, 항암, 해독에 좋은 채소이다. 무 장아찌는 여러 가지로 만드는데 일반적인 장아찌 장물로 담그기도 하고 간장만으로 담그기도 한다. 무 장아찌는 소금 장아찌와 간장 장아찌가 있다. 담그기 편리한 장아찌는 간장 장아찌이다. 소금 장아찌는 나중에 찬물에 충분히 우려낸 다음 양념에 무쳐서 섭취하고 간장 장아찌는 충분히 우려낸 후 그대로 섭취한다.
맛있는 무 고르는 법 :
1. 무청이 달려 있는 것이 신선한 무이다.
2. 몸통 표면이 희고 깨끗하며, 단단한 것이 좋다.
3. 지나치게 쓰거나 쏘는 맛보다는 단맛이 있는 무가 좋다.
4. 물이 많고 껍질은 얇은 것이 좋은 무이다.
준비 재료 : 무 50g, 대파 10g, 굵은 소금 3g, 고추장 10g, 참기름 2g, 깨소금, 설탕
1. 무는 깨끗이 다듬어 씻고 길쭉하게 4등분하여 소금에 절인다.
2. 무를 베보자기에 싸서 돌로 눌러 두었다가 햇볕에 말린다.
3. 무가 꾸덕꾸덕하게 마르면 고추장에 버무려서 항아리에 담는다.
4. 무가 삭아 익으면 분량의 참기름, 깨소금, 설탕을 넣어 무쳐 먹으면 된다.
약리 효능과 효과
무는 폐열을 식히는 작용이 있어 가래와 기침을 가라앉히고 수분과 비타민 C가 풍부해 기침을 멎게 한다. 껍질에는 무속의 2배 정도 되는 비타민 C가 들어 있다. 무즙의 매운 맛은 살균, 항균, 항암 작용을 한다. 이외에도 비타민과 칼슘, 철, 인 등 미네랄이 풍부하다. 무에 함유되어 있는 오게시타제 성분은 발암물질을 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며 위장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무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소화효소가 다량 들어 있어 체했을 때 좋다. 무에는 아말라아제가 들어 있어 소화불량이나 복통에 좋다. 무는 피부노화와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무에 들어 있는 메틸메르캅탄, 겨자유가 매운 맛을 내며, 항균, 거담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감기를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무는 니코틴을 해독하고 숙취를 해소시켜준다. 무는 항균 효능이 있어 식중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참고 : 1. 김오곤. 한국인의 음식보약 장아찌 151가지. 꿈이있는집플러스
2. 자연음식전통연구원. 한국인의 맛 장아찌. 성하Books
3. 남설악장아찌연구회. 약초 & 채소 장아찌 만들기. 지식서관
생강 고추장 장아찌 (11월) (0) | 2020.09.21 |
---|---|
배 고추장 장아찌 (11월) (0) | 2020.09.19 |
감 고추장 장아찌 (11월) (0) | 2020.09.06 |
케일 고추장 장아찌 (가을) (0) | 2020.08.23 |
더덕 고추장 장아찌 (9월) (0) | 2020.08.15 |
1. 무청이 달려 있는 것이 신선한 무이다.
2. 몸통 표면이 희고 깨끗하며, 단단한 것이 좋다.
3. 지나치게 쓰거나 쏘는 맛보다는 단맛이 있는 무가 좋다.
4. 물이 많고 껍질은 얇은 것이 좋은 무이다.
출처 : 자연음식전통연구원. 한국인의 맛 장아찌. 성하Books
다크 써클을 없애주는 무즙팩 만들기 (0) | 2020.09.14 |
---|---|
무를 이용한 민간요법 (0) | 2020.09.14 |
무 다이어트 (0) | 2020.09.12 |
연근 조림 (0) | 2020.09.09 |
싱싱한 연근 고르는 법 (0) | 2020.09.09 |
출처: 자연음식전통연구원. 한국인의 맛 장아찌. 성하Books
무를 이용한 민간요법 (0) | 2020.09.14 |
---|---|
맛있는 무 선택법 (0) | 2020.09.13 |
연근 조림 (0) | 2020.09.09 |
싱싱한 연근 고르는 법 (0) | 2020.09.09 |
아침 사과? 저녁 사과? (0) | 2020.09.07 |